그로스 해킹, 우리도 해봅시다. 근데 그게 뭐죠?
업데이트:
내가 이 강의를 들은 이유
1년 전, 그로스 해킹 이라는 책을 매우 감명깊게 읽었다. 이런 포스트도 작성했었다. 내가 알고있는 그로스 해킹의 프로세스를 간단하게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.
- 특정 시장에서 고객들이 어떤 문제점, 불편함을 느끼는지 조사해본다. (어떤 프로덕트가 필요한지 리서치)
- 위 고객에게 적합한 MVP(최소기능제품)를 시장에 내놓는다.
- 서비스에 맞는 지표를 측정한다.
- 핵심은 고객이 서비스를 잘 활용하고 있는지, 불편을 느끼는 것은 없는지, 필요한 기능은 무엇인지 등에 대한 어떠한 목표를 가지고 측정해야한다는 것이다.
- 서비스를 개선시키기 위한 실험을 기획하고 실행한다.
- 4) 에서 진행된 결과를 보고 더 좋은 방안이 있는지, 실제 개선이 되었는지 등을 모니터링하며 4)를 반복한다.
- 3)~5)를 반복한다.
근데 이전 회사에서 그로스 해킹 방법론을 적용시키려 하니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.
가장 큰 고민거리는…
- 그래, 다른 회사는 어떻게 하는지 알겠고 그로스 해킹 방법론도 매우 좋아. 근데 우리 프로덕트에 어떻게 적용해야하지? → 어떤 지표를 어떻게 측정해야할까? 에 대한 고민
- 같이 일하는 동료들이 그로스 해킹 방법론을 모르거나 별로 관심이 없으면 어떻게 해야하지?
이렇게 두 가지였다.
근데 양승화님의 그로스 해킹 강의는 이런 고민거리를 해결해줄 수 있을 것 같아서 결제했다!!
위 두 가지 관점에서 이 강의를 어떻게 들었는지 정리해보고자 한다.
그로스 해킹이 뭔가요
- 데이터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
- 궁극적으로는 문제들을 해결해서 서비스를 성장시키자!
- 예전에는 아주 좋은 서비스에 좋은 모듈들을 때려넣고 그랜드 오픈!
- 그로스 해킹 관점에서는 → 제품 런칭이 시작! 소비자들이 뭘 원하는지 알고 계속 개선시켜나가자.
- 가장 중요한 키워드로는,
- 핵심 지표, 분석 환경, 프로세스, 문화 + 린분석
그럼 아무런 product만 만들고 개선시키면 되는건가
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서비스인지 잘 생각해야한다. 근데 잘 생각한다는 말은 너무 막연하다. 좀 더 구체적으로 정리해보면
- 일단 product가 MVP인지 점검해봐야한다.
- MVP는 최우수 선수, 빅뱅 팬클럽 아니고 Minimum Viable Product다.
- 서비스의 근본적인 목표를 이룰 수 있는 최소한의 기능을 갖춘 product이다. 최소 기능 제품, 최소 존속 제품이라고도 한다.
- 우리가 하려는 서비스(product)는 고객들이 느끼는 불편함을 해결해줘야한다.
- 근데 이걸 어떻게 알 수 있을까? → 우리가 만든게 MVP가 맞긴 한가?
- 이 질문들에 명쾌히 대답할 수 없다면 MVP가 아닐 가능성이 있다, Product-Market Fit이 아닐 수 있다. (시장에 맞지 않는 제품)
- 진짜 우리가 생각했던 그 문제가 있는가?
- 이 서비스가 그 문제를 잘 해결하는가?
- 이 질문들에 명쾌히 대답할 수 없다면 MVP가 아닐 가능성이 있다, Product-Market Fit이 아닐 수 있다. (시장에 맞지 않는 제품)
- 근데 이걸 어떻게 알 수 있을까? → 우리가 만든게 MVP가 맞긴 한가?
Product-Market Fit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?
- Product-Market Fit을 확인하기 위해선 이런 지표들을 확인해볼 수 있다.
- Retention :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고객이 어느 정도로 유지되는지?
- 런칭 초기에는 급격히 떨어져도, 점차 어느 정도 유지를 한다면 PMF를 만족한다고 할 수 있다.
- 다만, 우하향곡선만을 그린다면 다시 서비스를 점검해봐야 할 것이다.
- 리텐션이 어느 시점에 어느 수준을 유지하는지를 파악한다면 우리 서비스의 수준, 만족도 등을 대략 파악할 수 있다.
- Conversion : 고객이 핵심 가치까지 얼마나 전환되는가?
- NPS(Net Promoter Score, 순수 추천 지수) : 얼마나 서비스를 추천하는지에 대한 지표
-
사실 이 지표를 처음 접한건, 황태용님의 블로그였다. 강의로 다시 들어보니 신선한 지표였다.
-
방법을 간단히 요약하면, 0~10점의 척도로 서비스 추천, 만족 지수를 설문받는다.
- NPS: [9~10점: Promoters] - [0~6점: Detractors]
- 중간 Passives [7, 8]의 비율은 고려하지 않는다.
- NPS가 양수라면 그 자체로 긍정적이라고 볼 수 있다.
- 좀 더 자세히 나눠보자. (물론 이 기준은 큰 의미 없을 수 있다.)
- -100 ~ 0: 개선 필요
- 0 ~ 30: 좋음
- 30 ~ 70: 아주 좋음
- 70 ~ 100: 최고!
- 지표를 보며 느낀 것은, 서비스에 열광하는 사람들을 만드는 것 (팬층)의 중요성이다. 단순히 부정적인 이슈를 없애 기능 개선을 하는 것도 중요하다. 하지만, 어떻게 해야 우리 서비스를 사용하며 감동까지 줄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도 중요하겠다는 생각을 했다.
- 나에게 그런 서비스는 뭐가 있을까!
- 노션, 리디북스, 쏘카, 유튜브, 넷플릭스, 클럽하우스, 배달의민족
- 대부분 스타트업..
- 노션, 리디북스, 쏘카, 유튜브, 넷플릭스, 클럽하우스, 배달의민족
- 나에게 그런 서비스는 뭐가 있을까!
-
- Retention :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고객이 어느 정도로 유지되는지?
- 그럼, PMF 측정에 별로 도움이 안 되는 지표는 무엇일까?
- 가입자 수, 설치 수, Active User, 구매 수 등이 있겠다..
- 근데 소름돋는 것은, 많은 스타트업에선 이 지표들이 핵심 지표라는 것?
- 물론 잘못된 것은 아니다. 다만 서비스의 본질을 알 수 있는 지표는 아니다.
그럼 PMF를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?
- 하면 안 되는 것은?
- 브레인스토밍
- 새 기능 추가
- 1, 2)를 하면 안 되는 이유: 우리 고객은 ~~할거야 라고 추측하는 것에서 비롯될 수 있기 때문.
- Retention, Conversion을 개선하기 위한 실험
- 이 지표들은 PMF가 잘 맞았을 때 결과로 나오는 지표.
- 실험을 통해 이 지표들을 올렸다고 해서 PMF가 맞는 것은 아님.
- 결과로만 바라보자!
- 해야하는 것
- 사용자와 직접 만나 피드백을 들어보자.
- FGI나 인터뷰, 설문 등이 있을 것.
- 어떤 점이 불편했고, 왜 쓰고… 이런 본질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듣는 시간.
- FGI나 인터뷰, 설문 등이 있을 것.
- 사용자 데이터 분석
- 고객이 어떤 행동을 보이는지 등을 분석.
- 사용자와 직접 만나 피드백을 들어보자.
댓글남기기